맨위로가기

아르테미스 1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테미스 1호는 우주 발사 시스템(SLS) 블록 1 로켓으로 발사된 오리온의 무인 시험 비행이다. 2022년 11월 16일 발사되어 오리온 우주선의 실용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2023년 발사될 아르테미스 2호에 최초로 우주인이 탑승할 예정이다. 큐브샛 여러 개를 탑재하고 발사되었으며, 발사 26일 만인 2022년 12월 12일 태평양에 착수하며 임무를 완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재진입한 우주선 - 톈저우 3호
    톈저우 3호는 2021년 9월 20일 발사되어 톈궁 우주정거장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선저우 13호 우주비행사에게 6톤의 보급 물품을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 2022년 퇴역한 우주선 - 인사이트 (우주선)
    인사이트는 NASA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에 따라 발사되어 화성에 착륙한 탐사선으로, 화성 내부 구조를 탐사하여 지구형 행성의 초기 진화 과정을 밝히고 지진계와 열 흐름 측정 장비로 화성 지진 관측 및 내부 온도 측정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나, 태양 전지판의 먼지로 인한 전력 부족으로 임무가 종료되었다.
  • 2022년 퇴역한 우주선 - 우주 추적 및 감시 시스템
    우주 추적 및 감시 시스템은 탄도 미사일 방어 시스템의 일부로서 지구 저궤도에서 미사일 추적 정보를 지상 시스템에 제공하며, 장파 및 단파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미사일의 부스트 및 중간 단계를 탐지하고 추적하여 기존 시스템을 보완한다.
아르테미스 1호

2. 발사 전 준비

오리온우주 발사 시스템(SLS) 블록 1 로켓을 이용하여 발사되는 무인 시험 비행으로, 오리온 우주선의 실용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임무를 가진다. 유인 우주선은 이후에 발사될 예정이다. 오리온 승무원 모듈은 최대 4명의 승무원이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초기에는 최대 6명까지 탑승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가 축소되었다.

2022년 11월 15일, 발사 준비를 마치고 한국 시간(KST) 15시 47분 44초에 발사되었다.

2. 1. 발사 연기 과정

2018년 후반에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용접 문제로 인해 2020년 6월로 연기되었다.[6]

그러나 여러 차례 연기되어 2022년 8월 29일, 한국 시간으로 21시 33분에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 센터 LC-39B 발사대에서 발사될 예정이었다.[7] 당일 엔진 문제점이 발견되어 발사가 다시 연기되었다.[8] NASA에 따르면 아르테미스 1호의 3번 엔진의 액체 질소가 지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없어 발사를 보류했다.

다음 발사 가능 일정은 9월 2일로 예상되었지만, 8월 29일 당시에는 새로운 발사 정보가 발표되지 않았다. 이후 발사 예정 시간은 9월 3일 18시 17분(UTC, 한국 시간 9월 4일 3시 17분)으로 정해졌다.[9]

현지 시간 9월 3일 11시 17분경, 로켓 코어 스테이지에 추진제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액체 수소 누출이 발생하여 다시 발사가 보류되었다.[10] 이후 발사 예정일은 9월 23일 또는 27일로 발표되었으나,[11] 연기가 반복되어 9월 27일(예비일 10월 2일)로 발표되었다.[12] 그러나 이마저도 허리케인 접근 우려로 보류되었고,[13] 이후 11월 12일부터 27일까지의 발사 가능 기간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14] NASA는 새로운 발사 예정일을 11월 14일로 정했으나,[15] 열대성 폭풍 접근으로 인해 11월 16일(예비일 11월 19일)으로 변경되었다.[16]

3. 발사

오리온의 무인 시험발사는 우주 발사 시스템(SLS) 블록 1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었다. 당초 2018년 후반에 발사할 예정이었으나, 용접 문제로 인해 2020년 6월로 변경되었다.[6]

2022년 8월 29일, 한국 시간으로 21시 33분에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 센터 내 LC-39B 발사대에서 발사될 예정이었으나,[7] 당일 엔진 문제점이 발견되어 연기되었다.[8] NASA에 따르면 아르테미스 1호의 3번 엔진의 액체 질소가 지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없어 발사를 보류했다.

이후 발사 예정 시간은 9월 3일 18시 17분(UTC, 한국 시간 9월 4일 3시 17분)으로 설정되었으나,[9] 현지 시간 9월 3일 11시 17분경 로켓 코어 스테이지에 추진제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액체 수소 누출이 발생하여 다시 발사가 보류되었다.[10] 이후 발사 예정일은 9월 23일 또는 27일로 발표되었으나,[11] 연기가 반복되어 9월 27일(예비일 10월 2일)로 발표되었다.[12] 게다가 이마저도 허리케인 접근 우려로 인해 보류되었고,[13] 이후 11월 12일부터 27일에 걸친 발사 가능 기간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14] NASA는 새로운 발사 예정일을 11월 14일로 설정했으나,[15] 열대성 폭풍 접근으로 11월 16일(예비일 11월 19일)으로 변경되었다.[16]

마침내, 2022년 11월 16일, 동부 표준시 오전 1시 47분(한국 시간 오후 3시 47분) 플로리다주의 케네디 우주 센터 LC-39B 발사대에서 발사되었다.[17][18]

4. 발사 후 과정

발사 후 2분 뒤, 고체 로켓 부스터가 분리되었다.[4] 발사 3분 뒤에는 페어링이 분리되었고, 8분 뒤에는 로켓의 코어 스테이지(1단)가 분리되었다.[4] 발사 18분 후 오리온 우주선의 태양 전지판 전개가 시작되어, 36분 후 완전히 전개되었다.[4] 발사 53분 후 근지점 상승 기동이 완료되었고, 1시간 45분(105분) 후 달 전이 궤도 진입이 완료되었다.[4]

미션 둘째 날, 오리온 우주선은 달 전이 궤도에서 광학 네비게이션 카메라로 지구의 흑백 사진을 촬영하였다.[4] 셋째 날에는 달까지 절반 거리에 도달하여 카메라로 달을 촬영하였다.[4] 넷째 날에는 와이파이 신호, 라디에이터 등 여러 시스템을 점검하며 태양광 전지판에 달린 카메라로 오리온 우주선의 전체 사진을 촬영하였다.[4] 다섯째 날(한국 시간으로 21일 오전 3시 9분), 아르테미스 1호는 달의 영향권(지구 중력보다 달 중력이 더 강해지는 지점)에 진입했다.[4] 여섯째 날(한국 시간으로 21일 오후 8시 57분), 달의 최대 근접 거리(약 130km)에 도달했으며, 이때 속도는 2.2km/s였다.[4]

스물여섯째 날이자 마지막 날(한국 시간으로 12일 오전 1시 5분), 아르테미스 1호는 귀환을 위해 지구로 향했다.[4] 마지막 날(한국시간으로 12일 오전 2시 40분), 태평양에 착수하면서 지구로 귀환하였다.[4] 주 낙하산 3개 모두 정상적으로 펼쳐졌고, 귀환 모듈 역시 큰 손상 없이 안전하게 도착하였다.[4] 이로써 발사 26일 만에 아르테미스 1호 미션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4. 1. 큐브샛

JAXA의 OMOTENASHI와 도쿄 대학 나카스가 연구실, 후나세 연구실[4]과 JAXA가 공동으로 개발한 EQUULEUS 등 10기의 CubeSat도 동시에 발사된다.[5]

국가명칭개발 기관궤도목적
아르고문ASI태양 궤도기술 시험 위성
바이오센티넬NASA태양 궤도우주 생물학
CuSPNASA태양 궤도우주 기상 예보
에쿠우스도쿄 대학지구-달 라그랑주 점 L2지구 관측 위성
루나H-MapNASA달 궤도달 탐사선
루나 아이스큐브NASA달 궤도달 탐사선
루니어록히드 마틴태양 궤도기술 시험 위성
Near-Earth Asteroid Scout영어NASA태양 궤도기술 시험 위성
오모테나시JAXA달 궤도달 착륙선
팀 마일스Fluid & Reason태양 궤도기술 시험 위성


5. 지구 귀환

아르테미스 1호는 발사 26일 만에 임무를 종료하였다.[1]


  • 발사 26일째(한국 시간으로 12일 오전 1시 5분), 지구로 귀환을 시작했다.[1]
  • 마지막 날(한국시간으로 12일 오전 2시 40분), 태평양에 착수하였다.[1] 주 낙하산 3개는 모두 정상적으로 펼쳐졌으며, 귀환 모듈도 큰 손상 없이 안전하게 도착하였다.[1]

6. 의의 및 전망

오리온의 무인 시험발사로, 오리온 우주선의 실용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임무이다. 유인 우주선은 이후에 발사할 계획이다. 우주 발사 시스템(SLS) 블록 1 로켓으로 발사된다.[1]

2022년 9월 4일 새벽 3시 17분(한국 시간)에 발사 예정이었으나 연료 누출로 인해 11월 16일로 연기되었다.[3] 이후 2022년 11월 15일 KST 15시 47분 44초에 발사했다.[4]

2023년 발사될 아르테미스 2호에 최초로 우주인 1명이 탑승할 계획이다.[5]

참조

[1] 웹사이트 Around the Moon with NASA’s First Launch of SLS with Orion http://www.nasa.gov/[...] 2018-03-07
[2] 웹사이트 ついに完成!「アルテミス1」ミッションで打ち上げられる“オリオン宇宙船”のクルーモジュールが公開される https://sorae.info/0[...]
[3] 웹사이트 NASA、月探査「アルテミスI」取材の事前申し込みを受付開始--打ち上げは3月の見通し https://japan.cnet.c[...] CNET JAPAN 2022-01-20
[4] 웹사이트 東京大学工学系研究科中須賀・船瀬研究室 Intelligent Space Systems Laboratory https://www.space.t.[...]
[5] 웹사이트 月探査ミッション「アルテミス1号」に“相乗り”する10基の超小型衛星には、宇宙探査にとって重要な任務が課せられている https://wired.jp/art[...] 2022-08-23
[6] 웹사이트 NASA expects first Space Launch System flight to slip into 2020 – Spaceflight Now https://spaceflightn[...]
[7] 웹사이트 Artemis: Nasa Moon mission gets go-ahead to launch https://www.bbc.com/[...] bbc
[8] 뉴스 NASA、新型ロケット「SLS」の打ち上げ延期 エンジン不具合で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2-08-29
[9] 웹사이트 NASA「アルテミス1」SLSの打ち上げ予定日を日本時間9月4日に再設定 https://sorae.info/s[...] sorae 2022-08-31
[10] 웹사이트 Artemis I Launch Attempt Scrubbed https://blogs.nasa.g[...] NASA
[11] 웹사이트 NASA「アルテミス1」SLS打ち上げ予定日再設定、早ければ9月23日発射 https://sorae.info/s[...] sorae 2022-09-09
[12] 웹사이트 アルテミス計画のロケット、また打ち上げ延期 NASA https://www.cnn.co.j[...] CNN 2022-09-13
[13] 웹사이트 NASA月探査計画「アルテミス1」日本時間9月28日の打ち上げ見送り、熱帯低気圧接近のおそれ https://sorae.info/s[...] sorae 2022-09-26
[14] 웹사이트 NASA月探査計画「アルテミス1」打ち上げは2022年11月中旬以降の見込み https://sorae.info/s[...] sorae 2022-10-03
[15] 웹사이트 NASA月探査計画「アルテミス1」日本時間11月14日に打ち上げ実施予定 https://sorae.info/s[...] sorae 2022-10-15
[16] 웹사이트 NASA月探査計画「アルテミス1」打ち上げ予定日を11月16日に再設定 トロピカルストームが接近中 https://sorae.info/s[...] sorae 2022-11-10
[17] 웹사이트 アポロ計画以来の月探査「アルテミス計画」 ロケット打ち上げ https://web.archive.[...] NHK 2022-11-16
[18] 웹사이트 Artemis I Liftoff https://blogs.nasa.g[...] NASA 2022-11-16
[19] 웹인용 Artemis 1 Press Kit https://www.nasa.gov[...] 2022-11-16
[20] 웹인용 NASA Prepares Rocket, Spacecraft Ahead of Tropical Storm Nicole, Re-targets Launch https://blogs.nasa.g[...] 2022-11-08
[21] 뉴스 NASA's next-generation Artemis mission heads to moon on debut test flight https://www.reuters.[...] Reuters 2022-11-16
[22] 웹인용 Artemis 1 flight to moon depends on precision rocket firings to pull off a complex trajectory https://www.cbsnews.[...] CBS News
[23] 웹인용 Artemis I launch guide: What to expect https://www.planetar[...]
[24] 웹인용 Artemis I – Flight Day Five: Orion Enters Lunar Sphere of Influence Ahead of Lunar Flyby https://blogs.nasa.g[...] NASA 2022-11-20
[25] 웹인용 Artemis I – Flight Day 11: Orion Surpasses Apollo 13 Record Distance from Earth – Artemis https://blogs.nasa.g[...]
[26] 웹인용 Artemis I Flight Day 16 – Orion Successfully Completes Distant Retrograde Departure Burn https://blogs.nasa.g[...] NASA 2022-12-01
[27] 웹인용 Artemis I – Flight Day 20: Orion Conducts Return Powered Flyby https://blogs.nasa.g[...] NASA 2022-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